◀ 앵 커 ▶
최근 공문서까지 위조해
군을 사칭한 뒤, 음식을 대량으로
주문해 놓고 잠적하는 이른바
'노쇼 사기'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앞서 저희가 고발 보도해 드렸지만,
군인뿐 아니라 소방·교도관도
사칭하고 있는데요.
공공기관에서는, 시민에게
어떤 대리 구매도 요구하지 않고,
요구할 수도 없다는 점,
명심하셔야 겠습니다.
김성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 23일, 대전 장대동의 한 족발집에
한 남성이 전화를 걸었습니다.
자신을 한미연합군사령부 소속
이정민 대위라고 소개한 뒤, 다음 날
찾으러 가겠다며 75만 원 상당의
족발 세트를 예약했습니다.
식당 측은 다음 날 아침 걸려온 휴대전화로
확인 전화를 걸었고, 남성은 대대장의 도장이 찍힌 결제 확약서까지 보내왔습니다.
김일권 / 가게 주인
"법인 카드를 이용해야 한다고 하면서 현장에서 결제를 한다고 하니까 의심이 되는 건 맞는데 공문서까지 위조를 해서 보내니까 (믿게 됐습니다.)"
음식을 준비하려던 찰나, 광주의 한
보쌈집에서 전화가 걸려와 사기를 알아챌 수
있었습니다.
이정민 대위라는 사람이 광주 보쌈집에도
같은 사기를 시도했는데, 대전 족발집에
보내야 할 가짜 공문서를 광주로 잘못 보내
덜미가 잡힌 겁니다.
김일권 / 가게 주인
"(가게 번호가 적힌) 공문 위조를 했던 것을 (광주 가게에) 잘못 보낸 거예요. 광주 쪽에서는 뜬금없이 '왜 대전 쪽에 있는 공문이 왔나' 해서 저희 쪽에 연락을.."
지난해부터 이같은 군 사칭 사기 피해자만
전국적으로 4백여 명, 피해액은 57억 원에
달합니다.
단순 예약 취소를 넘어, 사기범들은 가게에
물건을 대신 사달라고 요청한 뒤 그 대금을
가로채는 수법까지 쓰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
"노쇼 (사기)를 이용해서 결국은 대리 구매를 유도하는 거거든요. 대리 구매를 해서 돈을 지급하면 그 돈은 범인 계좌로 돈이 들어가는 거잖아요."
최근 충남에서는 소방관을 사칭한
노쇼 사기도 6건이나 발생했으며,
전남 목포에서는 교도관까지 사칭하는 등
수법이 나날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도선 / 한남대 경찰학과 교수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이 어떤 대리 구매를
요청하는 행위는 절대 있을 수 없으니 이 점도 많은 시민들께서 좀 유념해 주셔서.."
또 예약자가 공공기관 소속이라고 주장하면
반드시 해당 기관의 대표 번호로 연락해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MBC뉴스 김성국입니다.
(영상취재: 명신환
영상편집: 신규호)
◀ END ▶
- # 군사칭
- # 노쇼
- # 공문서
- # 자영업자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