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지역방송의 위기..제도적 지원 절실/투데이

이승섭 기자 입력 2025-04-23 08:47:09 수정 2025-04-23 08:47:09 조회수 1

◀ 앵 커 ▶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판적인 언론을 적대시하고

탄압하는 사이, 지역 방송의

위기도 극심해졌습니다.

새 정부에서 방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지역 방송을

되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승섭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윤석열 전 대통령은 12·3 내란 당시 포고령에

"모든 언론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는

조항을 넣어 언론 검열을 시도했습니다.

정권에 비판적인 언론사와 기자에게는

무차별적인 수사와 압수수색이 이뤄졌습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은

2인 체제에서 의결하는 건 위법이라는

법원의 판결을 무시한 채 공영방송 이사와

사장 임명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3년 동안

언론 장악을 시도하면서 공영방송의 공공성은

훼손됐고, 국민의 신뢰도도 추락했습니다.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언론 자유와 독립성은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건강한 여론 형성과 합리적 공론의 장이라는 기능 또한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기성 언론이 탄압을 받는 사이

지역 방송의 여건은 더 악화하고 있습니다.

지역 방송사는 해마다 방송발전기금을

2천억 원 가까이 내지만,

지원받는 예산은 1/50 수준에 불과합니다.

시대적 과제인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지역방송이 제 역할을 하려면 법과 제도로

지원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김희경 /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

"향후에는 별도의 기금을 마련해서 실질적으로 지역 방송을 성장시키고 진흥시키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게"

정치권에서도 방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지역방송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책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됐습니다.

이훈기 / 더불어민주당 방송·콘텐츠 특별위원장

"지역 소멸 시대이기도 하고, 그 소멸 시기에 지역방송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지역 문화의 구심체, 여론 형성의 장이기 때문에"

민주당 방송·콘텐츠 특위는 이달 안에

방송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해

대통령 선거의 공약과 새 정부의 정책 과제로

반영하도록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이승섭입니다.

◀ END ▶

  • # 지역방송
  • # 윤석열
  • # 방통위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승섭 sslee@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