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산불 4월 중순까지 고비 '계도 대신 처벌'/투데이

최기웅 기자 입력 2025-04-01 08:19:01 수정 2025-04-01 08:19:01 조회수 0

◀ 앵 커 ▶

역대 최악의 피해를 낸 영남권 대형 산불이 

마침내 진화됐지만, 산불위기경보는 

여전히 '심각' 단계입니다.


청명과 한식이 있는 이번 주부터가  

큰 고비가 될 전망인데, 강력 처벌하는

방향으로 산불 단속이 전환됩니다. 


최기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 ▶


올해 들어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3월 말 

기준으로 175건으로 이중 충남은 26건으로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습니다. 


특히 건조한 가운데 돌풍이 부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대형 산불 발생 위험성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충남에서 독립가옥이나 암자 등 산불 

취약지역은 5천8백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영남권 대형 산불 인명피해 상당수가 

취약 지역에서 발생한 만큼 대피시설 등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신동헌 / 충남도 자치안전실장 

"시군, 읍면동 단위로부터 대피 요청 문자메시지를 받거나 방송을 들으시면 즉시 안내에 따라 대피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산불 위기 심각 단계에 따른 비상근무에 

돌입한 충남도와 일선 시군은 청명과 한식이 

있는 이번 주부터 4월 중순까지를 

최대 고비로 보고 총력 대응에 나섰습니다. 


영남권 대형산불 지역에 파견됐던 진화 헬기와 인력과

장비가 모두 복귀한 가운데 각 지자체도 대응 태세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대형산불로 특별재난지역까지 

선포됐던 홍성군은 청명과 한식 이틀 동안 

전 직원을 산불 예찰 활동에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충남도는 산불 위기 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제 계도 중심에서 강력히 처벌하는 쪽으로 

단속 방향을 전환할 방침입니다.  


김영명 / 충남도 환경산림국장 

"계도 방식보다는 고발해서 벌금을 매기는 형태로 좀 더 처벌을 강화하는 식으로 가야 할 것 같고요"


올해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 중 절반가량이 

영농 부산물과 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로 인한 것으로

드러나 예방과 초기 대응의 중요성이 

산불 위기 상황에서 거듭 강조되고 있습니다.  


MBC NEWS 최기웅입니다. 

  • # 산불
  • # 4월중순고비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최기웅 kiwoong@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