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날이 따뜻해지면서
초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
국내 연구진이, 실내 공기
정화과정에서 나오는 오존 발생은
최소화하면서도, 관리비도 적은
'무필터 저감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박선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필터 없이 정전기를 이용해
공기를 정화하는 무필터 공기청정기술은
주로 산업 현장에서 쓰입니다.
필터 막힘 문제가 없어 넓은 공간에서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크지만,
공기 정화를 위해 이온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오존이 발생해 실내에 적용하기는
부적합하기 때문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정전기 집진 방식을 이용해
초미세먼지를 90% 이상 제거하면서도,
오존 발생을 최소화해 실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극세사 탄소섬유를 장치에 붙이는 방식으로
오존 발생 농도를 일반 대기의 1/10 수준인
5ppb 이하로 줄였습니다.
대전 지하철 서대전네거리역과 오룡역,
중구청역 등 3곳의 터널에 설치해
효과 검증에 나섰습니다.
김학준 /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오염 공기가 그냥 (터널) 밖에 나가서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호흡 공기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나가는 공기의 초미세먼지를 90% 이상 저감시켜서 깨끗한 공기를 밖으로 보내서…"
기술 상용화의 가장 핵심인 가격 경쟁력도
갖췄다는 평가입니다.
기존 금속판을 대체할 플라스틱 판을 개발해
제조 비용을 낮춘 데다 필터 교체를 할 필요가
없어 유지비 절감 효과가 큽니다.
미세먼지 저감은 전 세계의 숙제인 만큼
10년 이내 기술의 해외 수출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류석현 / 한국기계연구원장
"세계 시장 진출, 특히 인도 시장이라든지 중국 시장 진출에 커다란 전기를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연구진은 기술 검증 절차를 마치는 대로
백화점, 학교 등 다중이용시설로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MBC 뉴스 박선진입니다.
◀ END ▶
- # 초미세먼지
- # 한국기계연구원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