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지역발전' 교육혁신 '시동'..RISE 사업 공모/투데이

문은선 기자 입력 2025-03-11 07:30:00 수정 2025-03-11 08:41:22 조회수 1

◀ 앵 커 ▶

 그동안 교육부 중심이었던

 대학 재정지원이 올해부터

  자치단체 주도로 바뀝니다.

     지역 산업과 연계한

대학 혁신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꾀한다는 건데

어느 대학에 얼마의 예산이 배정될지

첫 시행을 앞두고 대학마다

   초긴장 상태입니다.

문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즉 라이즈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대학에 지원하는 예산을

교육부가 아닌 지자체가 나눠주는 겁니다.

대전시의 경우 올해 사업 규모는 643억 원,

지역 13개 대학이 12개 세부 과제 중 7개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대전시는 항공우주, 바이오, 반도체, 국방,

양자역학, 드론 등 6개 분야를 전략산업으로

정했습니다.

지역 산업과 연계한 대학 혁신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꾀하는 겁니다.

이상도 / 충남대 RISE 추진 TF 단장

"대학과 출연연이 전체적으로 혁신기관과

협력해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그 구조를 만들고자 하는 것,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인력양성도 하고 기술개발도 하고 그다음 기술 이전, 창업 이런 부분들을 다 해야죠."

공모를 거쳐 다음 달 말쯤 과제별

지원 대학이 정해집니다.

기존 지역혁신사업, 산학연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등 5개 사업은 라이즈 사업으로

합쳐집니다.

원구환 / 한남대 기획처장

"(저희는) 캠퍼스 혁신파크가 있어요. 이 부분을 통해서 대학이 산업과 연계를 하고 지역의 어떤 여러 가지 기관들을 같이 연계해서 지역 정주형의 구조를 만들어 내고자.."

당장 관심은 어느 대학에 얼마의 사업비가

배정되느냐입니다.

대전시는 배정 금액에 상한선을 둬

모든 대학에 기회를 열어 놨습니다.

대학 간 통합 등 선택과 집중이

시대적 흐름인 것과 다른 행보라 우려도

나옵니다.

특히 지역 간 경쟁이 지역 내로 좁혀지면서

정치 논리에 의한 나눠먹기 식 예산 배분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한편 세종은 대학과 기관의 벽을 허문

하나의 캠퍼스 조성을, 충남은 지역 정주

실현을 목표로 각각 182억 원과

천 242억 원 규모로 라이즈 사업 참여 대학

공모에 나섰습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 END ▶

  • # RISE
  • # 대전시
  • # 세종시
  • # 충남도
  • # 대학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문은선 eunsun@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