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공공요금까지 고공 행진‥ 깊어지는 한숨/투데이

박선진 기자 입력 2025-02-19 07:30:00 수정 2025-02-19 08:18:30 조회수 1

◀ 앵 커 ▶

들썩이는 물가에 대전과 세종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를

보였습니다.


반년 가까이 1%대를 기록했던 충남마저도

2%를 넘었는데요.


특히 대전 상·하수도 요금도 당장 이달부터

오르는 데다, 도시가스, 택시비 등 공공요금의

줄인상이 예고돼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박선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수산물 판매대에서 연어 한 팩을 들고 

한참을 살펴보지만, 결국 그대로 내려놓고 

돌아섭니다.


모둠회를 들고 고민하던 소비자도,

육류 판매대 앞에 선 소비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전과 세종, 충남의 농축수산물 가격이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장바구니 물가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이종성 / 대전 둔산동

"살 때 고민을 하게 돼요. 옛날에는 2, 3인분을 샀다 그러면 지금은 그냥 한번 먹을 것만 산다든지."


대전과 세종의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를 유지했고, 

지난해 8월부터 1%대를 유지했던 충남마저도 

다시 2%를 넘었습니다. 


인상이 특히 두드러진 것이 전기·가스·수도,

공공요금인데,


대전과 세종이 각각 3.8%, 충남은 2.1% 올랐습니다. 


대전시는 2백억 원에 달하는 누적 적자 해소를 위해

다음 달부터 전체 평균 상·하수도 요금을 

각각 9%, 11.5%씩 인상합니다.


세종시는 당장 이번 달 고지 분부터 상하수도

요금을 올리는데, 특히 가정용 하수도

요금의 경우, 27% 넘게 크게 인상했습니다.


공공요금 고공 행진에 

소상공인들의 시름도 날로 깊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문을 연 한 카페.


1년 새 전기세는 80% 넘게 오른 데다 

여름에 비해 물 사용량이 적은 겨울에도 

수도세는 여름과 크게 차이 나지 않습니다.


카페 점주

"(여름에 비해 수도량)톤 수는 많이 줄었는데도 금액 차이가 크지 않아서. 수도세나 이런 공공요금이 올라가면 더 (판매)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또 대전 지역 도시가스 요금과 택시 기본요금도 

상반기 중 인상 폭을 확정하기 위한 용역이

진행됩니다. 


대전 경실련 등은 그러나, 물가가 안정되지 

않은 시기에 공공요금 줄인상이 아쉽다며

원가 절감이나 인상 시기 조정 노력과 함께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 강화 등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MBC뉴스 박선진입니다.  

◀ END ▶

  • # 소비자물가
  • # 공공요금
  • # 장바구니물가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박선진 sjpark@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