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부랴부랴 안전대책 "현실과 동떨어진 졸속"/투데이

김윤미 기자 입력 2025-02-18 07:30:00 수정 2025-02-18 08:17:18 조회수 1

◀ 앵 커 ▶

고 김하늘 양 사건이 발생한 대전의 초등학교가

일주일 만에 저학년부터 등교를 재개했습니다.


학부모들은 충격이 가시지 않은 채 

조심스레 자녀들을 등교시켰는데요. 


교육당국이 교사의 복직 승인 절차를 강화하고 

학생 귀가를 돕는 인력을 추가하는 등

안전대책을 내놓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졸속 대책이라는 비판입니다. 


김윤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고 김하늘 양 사건으로 휴교 조치가 내려졌던

초등학교가 일주일 만에 등교를 재개했습니다.


1학년에서 3학년까지 저학년부터, 

이튿날 고학년 학생들이 차례로 등교한 뒤 

봄방학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등굣길에는 경찰까지 배치됐고, 

학부모들도 여전한 불안 속에 저마다 

자녀 손을 잡고 학교로 향했습니다.


학부모

"(아이가) 조금 무서워하기는 하더라고요. 걱정했는데 경찰관들도 나와 계시고.."

 

사건 직후 대전시교육청은 정신적 질환 등

고위험군 교사가 휴직 후 조기 복직할 때

반드시 질병휴직위원회를 거치도록 하는 등

복직 승인을 강화하는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돌봄교실에서 귀가하던 하늘 양을 유인해 

가해 교사가 범행을 저지른 만큼

귀가를 돕는 자원봉사자 등도 배치합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부실한 졸속 대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민경임/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대전지부 부지부장

"아무런 책임성도 보상도 없는 자원봉사자가 어떤 자부심과 책임성을 가지고 아이들의 안전을 책임질까? 아이들의 안전은 그저 선한 마음으로 시간이 될 때 챙겨야 하는 것이 아니다."


1명의 아이를 인솔하기 위해 다른 아이들을

방치할 수 없어 그동안 '자율귀가'라는 형태로 

홀로 아이들이 집이나 학원으로 향했다며

예산을 투입해 안정적으로 인력을 확충하는 

실질적인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신은정/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전지부 사무국장 

"돌봄교실에 선생님들이 한 분이 22명을 보고 계세요. 귀가 지도를 따로 아이들을 맡아서 하실 수 있는 인력을 충원한다든가.."


학부모들과 시민단체들도 기자회견을 열고

우울증으로 병가와 휴직을 반복하고 

폭력적 성향까지 보인 위험한 가해 교사를

교육당국이 사실상 방치했다고 꼬집었습니다.


강영미/참교육학부모회 회장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엔 도저히 믿을 수 없는 끔찍한 사건이 벌어진 것입니다. 이 사건은 학교 관리자와 담당 장학사, 그리고 교육감의 안전불감증과 직무 유기로 벌어진 일이며.."


부랴부랴 안전대책을 내놓기 전에

법과 제도 등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원인을 철저히 밝혀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윤미입니다.

  • # 대전교육청
  • # 학교안전대책
  • # 졸속
  • # 비판
  • # 학부모단체
  • # 돌봄전담사
  • # 인력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김윤미 yoom@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