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숨진 하늘이는, 돌봄교실을
이용하다가 변을 당했습니다.
가해 교사는 돌봄교실 이후
보호자에게 인계되는 과정에서
홀로 있던 하늘이를
범행 대상으로 삼았는데요.
정부는 돌봄을 확대한 늘봄을
초등학교 2학년까지 올해부터
전면 도입할 계획인데,
제2의 하늘이가 생기지 않도록
학생 안전에 대한 고민도 함께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문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고 김하늘 양은 사건 당일 오후
돌봄을 마치고 귀가하다 변을 당했습니다.
학원 차가 왔다는 연락을 받은
돌봄교사의 안내를 받고 2층 교실에서
1층 현관으로 혼자 내려가던 중이었습니다.
최재모 / 대전시교육청 교육국장 (그제 브리핑)
"현관에서 인터폰을 통해서 돌봄 교실과 연락을 하고 그다음에 그걸 통해서 교사와 학원 차량 기사가 서로 소통하는 것으로 이렇게 파악하고 있습니다."
학교 현관에는 외부인 출입을 막기 위해
비디오폰과 함께 잠금장치가 설치돼 있고
아이를 데려가는 보호자나 대리인은
서명부에 확인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생을 어디에서 인계할지
인계 위치에 대한 규정은 없습니다.
최재모 / 대전시교육청 교육국장 (그제 브리핑)
"학교 경계 내부에서의 학교는 일단 안전한 공간이다라는 것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규정은 별도로 없습니다."
그리고 범행은 가장 안전할 것이라 믿었던
학교, 규정 사각지대에서 발생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늘봄학교를 도입했습니다.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학교에서
교육과 돌봄을 책임지겠다는 취지입니다.
무엇보다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다는
생각에 맞벌이 가정 등에서 많이 이용했습니다.
고 김하늘 양 유족
"거의 다, 거의 다 (돌봄 해요) 여기는 돌봄 교실이 한두 반이 아니고 5반인가 6반까지 있어요."
지난해 1학기부터 45개 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시범 운영해 온 대전만 해도
2학기 151개로 늘봄학교 수가 늘었습니다.
다음 달 새 학기부터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까지로 대상을 확대해 모든 초등학교에서 운영합니다.
교육계와 학부모들은 늘봄이나 돌봄교실
확대만으론 돌봄 공백은 물론 이번과 같은
참극을 막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강영미 / 대전참교육학부모회 대표
"늘봄교실 한다고 학교에는 막 다 예산
뿌려놓고 알아서 해 막 이렇게 하니까.
선생님들도 홍보도 안 하고 하기 싫어요.
업무만 늘어나니까"
일부 시도교육청이 하는 부모가 자녀의
하교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안심 알리미 서비스를 확대하거나
퇴직 공무원들을 늘봄학교에 배치하는 게
당장 대안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교육에 적합하지 않은
교사에 대한 학교와 교육청의 철저한 관리
책임이 먼저입니다.
학교에서 하늘이에게 흉기를 휘둘러 살해한
혐의를 받는 교사는 해당 학교에서
아이들의 등·하굣길 안전을 책임지는
'교통안전·새싹 지킴이' 업무를 맡고
있었습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 END ▶
- # 고_김하늘
- # 초등생
- # 안전
- # 대전교육청
- # 늘봄학교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