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학교도 밀어주기 의혹"...손 놓은 교육당국/투데이

윤소영 기자 입력 2024-12-06 07:30:00 수정 2024-12-06 08:43:28 조회수 8

◀ 앵 커 ▶

교복 카르텔 기획보도 순서입니다.

대전 지역 교복 업체간 담합에

일부 학교도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올해 한 학교의 교복 업체 입찰에서

접근성이 뛰어난 다른 브랜드

업체를 제치고, 수년째 선정된 업체가

사실상 최고가로 또다시 선정된 건데요.

교육당국의 전반적인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윤소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9월, 대전의 한 중학교에서

내년도 교복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경쟁 입찰이 진행됐습니다.


업체 2곳이 참여했지만,

한 곳이 '부적격' 판정을 받아

나머지 업체가 자동으로 선정됐습니다.


결국, 학교는 거의 최고 단가인 33만 원 선을

제시한 교복 업체와 계약을 맺었습니다.


입찰가는 절차상 마지막 단계에서 공개되기

때문에, '부적격' 판정을 받은 업체의

희망 가격은 학교조차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다만, 탈락한 업체는 올해 다른 학교에서

20만 원 미만으로 낙찰된 사례가 많았고,

선정된 업체보다 학교에서 거리상으로도

더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면, 선정된 업체는 수년간 해당 학교와

계속 계약을 맺어온 것으로 드러나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특혜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교복 업계 관계자

"(업체가) 골치 아프다, 그러면 학교에서 부적격 시킬 수 있는 거야. 억울하지."


이에 학교 측은 제안서를 접수하더라도 학생, 학부모, 교원으로 구성된 교복선정위원회에서 평균 85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한다며,

탈락한 업체는 해당 평가 과정에서 기준 점수에 미달해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학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특정업체가 비싼 값에 교복을 계속 공급한다면

학교의 신뢰도 저하는 물론 학부모들에계

피해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재섭 /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

"무상인 줄 알고 가서는 다양한 추가 금액을

지불해야하고 비용이 발생하는 거잖아요.

이런 문제는 교육 정책 자체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린다고 봅니다."

"교복 업체 간 담합은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 교육 현장의 공정과 신뢰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공정위의 철저한 감시, 학교의 적극적인 신고,

그리고 교육당국의 실효성 있는 문제 해결

노력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 # 교복담합
  • # 대전
  • # 대리점
  • # 공정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