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기후위기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는 나라가
많은데요.
사막이나 오지 등에서
공기 중 수분을 모아
먹는 물을 생산하는 휴대용 시스템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최기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계에서 가장 덥고 일년 내내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나미브 사막.
사막 딱정벌레는 아침 안개를 재료로
물을 만들어 마십니다.
등에 나 있는 돌기는 물을 좋아해 안개 속
수증기가 달라붙는데, 이것이 방수 처리된
등을 통과하면서 물방울로 더 크게 모으는
원리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딱정벌레 등 자연 모사 기술을
토대로 한 공기 중 '수분 포집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자신의 무게의 3천 배 가량의 수분을 저장하는
이끼에서 착안한 기술까지 접목해 수분 포집
효율과 능력을 끌어올렸습니다.
임현의 / 한국기계연구원 자연모사연구단 연구단장
"건조한 부분에서도 이끼처럼 물을 잘 흡습할 수 있는 그런 기술과 적은 에너지를 써서 물을 잘 응축시키는 딱정벌레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하이브리드 기술로 이뤄졌습니다."
온도 30도에 습도 80% 수준에서 백팩 크기의
공기 중 수분 포집 시스템은 하루동안 성인
필요 기준량인 2리터의 먹는 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 수분이 응축되는 냉각핀을 순간 가열해
박테리아를 살균하고 친환경 필터를 갖춰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오선종 / 한국기계연구원 AI로봇연구소 책임연구원
"휴대용 믈 수확기는 군사 목적이나 아니면 캠핑, 아니면 응급 상황에서 이동하면서 마실 수
있는 물을 제공하는 시스템이고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휴대용 수분
포집시스템은 이른바 '하늘 우물 프로젝트'로
추진돼 앞으로 전 세계적인 식수 부족과 가뭄 해결을 위한 음용수 생산 시스템으로 발전해
나갈 전망입니다.
MBC뉴스 최기웅입니다.
- # 휴대용수분포집
- # 사막
- # 하루에2리터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