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선거에 공무원 동원 '그만'/데스크

◀앵커▶
내년 상반기에는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 등 굵직한 선거가 연달아 치러집니다.



그런데, 지역 공무원들이 선거 때마다

투표와 개표 현장에 사실상

강제 동원되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이승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4월에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와 개표를 관리하는 데

전국에서 23만여 명이 투입됐습니다.



공직 선거 때마다 수십만 명이

투표와 개표 현장에 나서는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공무원입니다.



특히, 투표소가 설치된 일선 시·군·구는

선거관리위원회의 동원 요청이 잦아

공무원 대부분이 투·개표 업무를 맡습니다.



(S/U) "공직선거법상 투표와 개표 사무는

공무원을 비롯해 공기업 직원과 은행원,

선거에 중립적인 시민 등이 맡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들은 선거일마다 휴일을 반납한 채

하루 12시간 넘게 일하는 데다

선거 관리의 부담도 크다고 말합니다.


이문행 공주시 문화재과

"선거 시작 전에 (새벽) 5시, 최소한

5시 반까지 나와서 모든 점검을 완료하고

선거가 잘못 진행됐을 때에 대한

법적인 책임이 오롯이 또 (주어집니다.)"



공무원들은 투·개표 사무원의 처우 개선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선관위는 투표와 개표 사무원에게

식비를 포함해 수당으로 약 10만 원을 주는데,

휴일 수당은커녕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국응서 홍성군청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

"수당 손실분을 보전하기 위한 대체휴무나

특별휴가 시행 의지도 없다. 이 정도면

악덕 사용자가 따로 없다."



충남선관위는 내년 선거를 앞두고,

광역자치단체를 비롯한 다른 기관에

투·개표 사무 요청을 확대하고,

중앙선관위에서 선거 수당을 현실화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MBC 뉴스 이승섭입니다.
이승섭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